[국가硏 억대 연봉시대] 기초과학·비정규직 “우린 찬밥” [05.03.19/서울신문]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국가硏 억대 연봉시대] 기초과학·비정규직 “우린 찬밥” [05.03.19/서울신문]

페이지 정보

scieng 작성일2005-03-23 10:33

본문

[국가硏 억대 연봉시대] 기초과학·비정규직 “우린 찬밥”

국가연구기관에 있으면 뭐가 좋을까.
높은 연봉은 물론, 안정적인 연구활동을 보장받는다는 게 첫손에 꼽힌다. 특히 최근들어 정년까지 임기를 보장하는 ‘영년(永年)직 임명제’가 확산되는 등 처우도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다.

정규직 연구원은 통상 ▲석·박사 학위를 받은 연구원 ▲박사후(Post Doc) 연수까지 마친 선임연구원 ▲해당분야 연구를 총괄하는 책임연구원 등 3단계로 나뉜다. 이들은 3년 단위로 평가를 받아 계약기간을 연장한다. 만일 3년 연속 최하위 평가를 받으면 옷을 벗어야 한다.

물론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당하는 경우보다는 대학, 민간연구소 등으로 스카우트돼 옮겨가는 경우가 더 많지만, 신분상의 불안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다.

때문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4곳이 영년직 임명제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건설연구원, 한국철도연구원,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도 곧 영년직 연구원을 임명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국가와 기업의 지원이 잇따르면서 연구분야별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산업에 직접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분야와 달리 기초과학 분야는 연구성과에 따른 인센티브가 적기 때문이다. 처우개선의 ‘사각지대’인 계약직 연구원, 박사후 연구원, 인턴·위촉·임시연구원 등 비정규직 연구원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하다. 한국과학기술인연합이 지난해 17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비정규직 인력을 조사한 결과, 전체 연구인력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47.6%로 절반에 육박했다.

한 비정규직 연구원은 “서른을 훌쩍 넘긴 나이에 받는 월급이 100만원 수준인데도 짧게는 1개월 단위로 이뤄지는 계약연장에 더 신경써야 하는 처지”라고 토로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댓글 1

긍정이님의 댓글

긍정이

  서류상은 47%이지만 실제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람까지 하면 60% 육박합니다.ㅣ 그러나 60% 사람이 단순 숫자만도 문제지만 이 사람들이 갑자기 없어진다면 그 조직은 붕괴가 될 것입니다. 연봉 1억을 받는 사장이나 왕같은 연구원과 연봉 2천 안되면서 갖은 눈치와 박해 받는 연구원... 이것은 분명 구조적인 엄청난 문제점이죠.

언론보도

SLIDE UP

모바일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
PC 버전 보기
© 2002 - 2015 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