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껍질로 폭발의 비밀 풀어
- 글쓴이
- 박상욱
- 등록일
- 2004-03-09 09:15
- 조회
- 7,276회
- 추천
- 15건
- 댓글
- 0건
관련링크
계란 후라이를 해 먹기 위해 깨는게 아니다. 달걀을 폭발시켜서 공장 폭발 사고나 비행기 폭발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헝가리 데브레센 대학의 쿤 박사는, 달걀에 작은 구멍을 내 내용물을 빨아낸 뒤, 그 안에 수소를 채우고 플라스틱 백 안에서 폭발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뽑아낸 흰자와 노른자로 오믈렛을 만들어 먹었는지는 알 수 없다) 수소의 압력을 달리해가며 터뜨린 결과, 박살난 달걀의 파편 크기 분포와 폭발의 세기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고.
연구팀에 따르면, 폭발압이 높을수록 더 많이 조각나고, 큰 조각은 적었다고 한다. 즉, 강한 폭발일수록 그야말로 ‘산산히’ 부서진다는 얘기. 이는 달걀껍질 뿐 아니라, 공장의 화학물질 탱크나 비행기 등 속이 빈 형태의 어떠한 물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폭발에 따른 조각의 크기와 개수를 예측할 수 있는 수학 공식을 ‘파워 법칙’이라고 하는데,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유리창이나 돌덩어리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비슷한 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파편들을 수집하여 이 공식에 대입하면, 폭발의 세기나 폭발 전의 물체 크기, 다른 파편의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고. 고고학의 발굴물이나 공중폭발한 비행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문제는 공식에 대입할만큼 충분한 개수의 파편을 수집하는 것이 노가다라는거죠. 공중폭발 같은 경우 파편이 수제곱 킬로미터에 흩뿌려져 있을테니까요.” 물론, 그런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기사 소스 Nature online http://www.nature.com/nsu/040223/040223-11.html]
헝가리 데브레센 대학의 쿤 박사는, 달걀에 작은 구멍을 내 내용물을 빨아낸 뒤, 그 안에 수소를 채우고 플라스틱 백 안에서 폭발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뽑아낸 흰자와 노른자로 오믈렛을 만들어 먹었는지는 알 수 없다) 수소의 압력을 달리해가며 터뜨린 결과, 박살난 달걀의 파편 크기 분포와 폭발의 세기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고.
연구팀에 따르면, 폭발압이 높을수록 더 많이 조각나고, 큰 조각은 적었다고 한다. 즉, 강한 폭발일수록 그야말로 ‘산산히’ 부서진다는 얘기. 이는 달걀껍질 뿐 아니라, 공장의 화학물질 탱크나 비행기 등 속이 빈 형태의 어떠한 물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폭발에 따른 조각의 크기와 개수를 예측할 수 있는 수학 공식을 ‘파워 법칙’이라고 하는데,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유리창이나 돌덩어리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비슷한 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파편들을 수집하여 이 공식에 대입하면, 폭발의 세기나 폭발 전의 물체 크기, 다른 파편의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고. 고고학의 발굴물이나 공중폭발한 비행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문제는 공식에 대입할만큼 충분한 개수의 파편을 수집하는 것이 노가다라는거죠. 공중폭발 같은 경우 파편이 수제곱 킬로미터에 흩뿌려져 있을테니까요.” 물론, 그런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기사 소스 Nature online http://www.nature.com/nsu/040223/040223-1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