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우주개발 역사와 전망

글쓴이
최성우
등록일
2019-12-13 14:22
조회
3,542회
추천
0건
댓글
0건
우리나라의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KSLV-2) 누리호의 시험 발사가 지난해인 2018 년 11월 28일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75톤급 액체엔진 시험발사체가 목표시간인 140초보다 길게 비행하여 최고 209km까지 오른 후 공해상에 떨어짐으로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최종 개발에도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뒤이어 지난해 12월 5일에는 역시 우리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첫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2A호가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아리안 로켓에 실려 발사된 후 교신에도 성공하였다. 
 지난 2018 년은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에 큰 획을 긋는 해가 되는 셈인데, 이를 계기로 우리의 인공위성 및 발사체 개발의 역사, 그리고 우주개발의 전망과 바람직한 전략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선진국에 비해 최소 30-40년 늦었던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은 1990년에 발사된 우리별1호(KITSAT-1)인데, 영국 써리대학의 기술지원으로 위성개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실험용 위성의 성격이 크다. 1999년에 발사된 우리별3호(KITSAT-3)를 순수하게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최초의 독자개발 인공위성으로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신위성은 1995년에 발사된 무궁화 1호(KOREASAT-1)로서 미국 플로리다 주의 공군기지에서 델타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그러나 보조로켓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에 도달하지 못함으로써, 위성의 추진력으로 정지궤도에 진입하는 바람에 수명이 반으로 줄어드는 ‘절반의 성공’으로 귀결되었다. 뒤를 이은 무궁화 2호 및 3호는 1996년과 1999년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디지털 위성방송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호(KOMPSAT) 및 우주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STSAT) 역시 여러 차례 발사되었고, 정지궤도 통신해양 기상위성인 천리안1호가 2010년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2020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그동안 발사한 크고 작은 인공위성의 수만 해도 모두 30개에 가까이 되는 셈이니, 이제 우리나라도 위성 강국에 근접했다고 할 수 있다. 첫 위성인 우리별1호는 무게 48.6kg 정도의 소형위성이었으나, 지난 해에 발사된 천리안2A는 무게 3.5톤으로서, 자동차보다 더 무거운 대형 위성이다.

 그러나 그동안에는 독자적인 발사체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의 위성 발사를 대부분 다른 나라 의 로켓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의 인공위성 등을 쏘아올리기 위한 로켓 개발 역시 1990년대에 시작되었다. 고체추진제를 사용하는 1단형 과학관측 로켓인 KSR(Korea Sounding Rocket)-I을 1993년에 두 차례 발사하여 130km 상공까지 도달하는 데에 성공하였고, 2단형 과학로켓인 KSR-II는 1998년에 발사에 성공하였다. 또한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제 로켓인 KSR-III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2002년에 발사하여 비행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KSR은 시험적 성격의 로켓들로서 실제로 인공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었다. 한국형 우주발사체 사업은 고흥의 우주센터 건설과 함께 진행된 나로호(KSLV-I) 계획에 의해 비약적인 전기를 맞게 되었는데, 이는 사실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야심 찬 계획으로 볼 수 있었다.
 즉 기술개발 과정에서 중간 단계를 과감히 건너뛴 셈인데, 다른 분야처럼 기술이전이 가능한 분야라면 바람직한 전략일 수도 있겠지만, 우주개발과 같은 극도로 폐쇄적인 기술 분야에서는 성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로켓이 ICBM으로 전용될 우려 등의 정치, 군사적인 요인에 의하여, 나로호 1단 로켓엔진을 동맹국인 미국이 아닌 러시아로부터 들여올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역시 러시아가 철저한 보안 속에 신형로켓을 우리나라에 판매한 것일 뿐이었으므로, 내심 기대하였던 로켓기술 습득의 효과는 미미하였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나로호는 2009년과 2010년의 두 차례의 실패를 딛고 2013년 1월 발사에 성공하였다. 나로호에는 나로과학위성이 탑재되어 있었으므로, 자체 개발한 인공위성을 자국의 발사장에서 쏘아올렸으니 우리나라도 이른바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하였다고 언론은 보도하였다.
 그러나 러시아제 1단 로켓을 장착한 나로호를 진정한 한국형 발사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지금 개발 중인 누리호가 최종적으로 성공해야만 비로소 우리도 자체 개발한 발사체를 가지게 된다고 할 것인데, 이번에 시험에 성공했다 해도 아직 갈 길은 멀다. 즉 75톤 엔진 4개를 묶어서 로켓의 1단으로 제작해야 하고, 또한 로켓에 인공위성을 탑재하여 제 궤도에 올릴 수 있으려면 아직 고비가 여럿 남아있다. 따라서 한두 번의 성공과 실패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개발에 매진하는 진중하고 끈기 있는 태도가 개발자와 관계 당국, 그리고 국민 모두에게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우리가 한국형 발사체 개발에 최종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목표와 전략을 가지고 우주개발에 임할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기술 수준은 미국, 유럽, 러시아 등의 우주개발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등의 후발국에 비교해서도 아직은 많이 뒤처진 편이다. 그러므로 ‘친구 따라 강남 가는’ 격으로, 우리도 몇 년도까지는 달에 유인 우주선을 반드시 보내겠다는 식 등의 무모한 계획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더구나 중국과 인도는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로서, 잠재적으로는 ICBM 기술 등과도 관련 지어 우주개발 전략을 추진할 수도 있다.
 엄밀히 경제적인 측면만은 따진다면, 한국형 우주발사체는 그 가치가 별로 없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우주개발에서 우리나라가 잘 할 수 있는 쪽이 무엇인지, 어느 방향이 바람직한지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중국은 유인 우주선과 우주 정거장 쪽에서 우월한 위치를 점하고 있고, 일본은 특히 소행성 탐사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틈새 전략을 고려할 수도 있는데, 일단은 발사횟수가 적지 않은 우리나라의 인공위성들부터 우리의 발사체로 쏘아 올리고, 향후에는 개발도상국들의 인공위성 제작과 발사를 대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유럽우주국(ESA)의 경우처럼 중국, 일본 등의 인접 국가들과 공동으로 우주개발을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정치적 요인이나 각국의 이해관계 등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우주개발에 있어서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국위선양이나 국민적 자긍심 등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프랑스 등 유럽 선진국들이 하지 않았던 유인 우주선을 중국이 러시아,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개발한 것도 그런 요인이 가장 컸을 것이다. 그러나 투입할 자원과 여력이 넉넉하지 못한 우리로서는, 우주개발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들을 심사숙고하여 컨센서스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By 최성우

이미지1: 한국형 발사체(KLSV-II) 누리호의 컴퓨터그래픽이미지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미지2: 나로호에 실려 발사된 나로과학위성의 비행 상상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900 상온초전도체, 상온핵융합, 그리고 아카이브 최성우 03-13 235 0
1899 상온초전도체 소동과 ‘국뽕’ 과학 댓글 2 최성우 02-14 560 0
1898 물 없이 견디는 동식물과 레퓨지아 댓글 1 최성우 03-30 2730 1
1897 빙하 코어라는 차가운 타임 캡슐 최성우 03-11 2320 1
1896 타임캡슐과 같은 물 최성우 02-28 2180 1
1895 갈수록 심해지는 가뭄과 홍수 최성우 02-19 2165 0
1894 가상수와 물 발자국 댓글 4 최성우 01-29 2620 0
1893 물을 둘러싼 국제적 분쟁 최성우 12-30 2128 0
1892 동식물과 물의 상호작용 최성우 12-26 2049 0
1891 물과 생명체의 진화 최성우 12-22 2122 0
1890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특징 - 우주망원경의 세대 교체 댓글 3 최성우 11-29 2862 0
1889 2021년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특징 최성우 10-28 2888 0
1888 새롭게 각광 받는 해조류 최성우 10-25 2480 0
1887 가장 검증된 탄소 흡수 - 식물의 광합성 최성우 10-18 2412 0
1886 태양 지구공학적 방법은? 댓글 2 최성우 10-11 2574 0
1885 이산화탄소의 다양한 활용과 저장 최성우 09-28 2433 0
1884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직접 포집 최성우 09-23 2565 0
1883 엑스프라이즈 카본 리무벌 최성우 09-13 2327 0
1882 외골격 로봇의 선구자 최성우 08-31 2657 0
1881 최초의 로봇은? 최성우 08-19 5995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