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은?

글쓴이
최성우
등록일
2020-04-05 13:19
조회
2,422회
추천
0건
댓글
0건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자와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는 요즈음,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은 언제쯤 가능할 것인지, 그리고 현재 치료제로 쓰일 가능성이 있는 약품들은 어떤 종류들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바이러스의 특성과 인체 감염 과정 등을 명확히 파악해야만 할 것이다. 현재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원인 자연 숙주는 박쥐로 여겨지고 있지만, 인간에게 감염시킨 중간 숙주동물 및 최초 감염 경로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동물인 천산갑이 정말 중간 숙주인지에 대해서는 지금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전자현미경 사진 등을 통하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생김새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이것이 인체에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과정 역시 밝혀진 상태이다. 저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지는 최근 3월27일 발간된 최신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로 다가가는 모습을 표지에 실어서 눈길을 끌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에 돌기처럼 달려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S-protein)’이 인간 세포 표면의 수용체인 ‘ACE2’와 결합하여 인체 속으로 침투한다. 또한 표면의 E 단백질(E-protein)이 바이러스의 조립과 방출을 촉진하는 등,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니고 있는 표면 단백질의 기능은 이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백신이나 치료제는 이들 단백질의 기능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저해하는 방향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대중이나 언론 등은 백신과 치료제라는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백신과 치료제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즉 백신이란 건강한 사람이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도록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며, 치료제란 이미 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린 환자가 조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의약품이다.
 지난 사스(MERS)와 메르스(MERS) 역시 이번의 코로나19 감염증과 유사하게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인데, 여전히 백신을 개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코로나19의 백신을 개발하는 일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전문가들은 아무리 서둘러도 최소 18개월 정도의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나마 최근 백신을 예전보다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개발 플랫폼이 구축된 덕분인데, 세계 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35개의 백신 후보를 정리하여 공개한 바 있다.

 백신은 물론 코로나19에 특효가 검증된 치료제 또한 여전히 없는 상태이다. 치료제의 개발 역시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감염자와 사망자가 세계적으로 폭증하는 급박한 현실을 감안하여 다양한 치료방법과 다른 치료 약품의 시험적인 적용 등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환자를 위해 시도되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하나로서 혈장치료(plasma treatment)가 있다. 이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된 환자의 혈장을 다른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법인데, 회복기 환자의 혈장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이미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이러스의 체내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예전에 에볼라(Ebola) 바이러스나 메르스 등이 유행하였을 시기에 이러한 혈장치료법이 제한적으로나마 시행되어 어느 정도 효과를 본 적이 있고, 당시 WHO 역시 경험적 치료법으로서 권장한 바 있다. 그러나 회복기 환자의 혈장 공급에는 제한이 따를 것이므로, 감염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대규모로 실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직접적인 혈장치료는 아닐지라도 회복기 환자의 혈장에서 항체를 추출하여 외부에서 이를 합성하는 방법 등으로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고, 이미 국내외에서 이러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 바이러스 관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미 개발된 치료제를 시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에볼라 치료제인 렘데시비르(Remdesibir), 에이즈 치료제인 칼레트라(Kaletra), A형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아비간(Avigan) 등이 있다.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려면 역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것이므로, 기존의 약물 중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찾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
 에볼라, 에이즈, 인플루엔자의 병원체 역시 종류는 다르지만 모두 바이러스의 일종이므로, 이들의 치료제 역시 기대해볼 수 있고 국내외에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도 확실하게 치료할 수 있는지 현재까지 진행된 시험 결과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말라리아 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클로로퀸(Chloroquine)도 최근 떠오르는 치료제 중의 하나로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른바 ‘게임체인저’라고 언급을 해서 주목을 받았다. 말라리아의 병원충은 원생생물로서 바이러스가 아닌 일종의 기생충이기는 하지만, 그 치료제인 클로로퀸은 과거 사스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클로로퀸 역시 코로나19에도 확실한 효과가 있는지 일부 임상시험 결과를 놓고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안전성 문제와 부작용 등의 우려도 있어서 섣불리 본격적인 치료제로 사용하기보다는 좀 더 신중해야 한다고 얘기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얼마 전 국내의 제약회사가 다른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한 신약이 코로나19에도 큰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여 화제가 된 바 있다. 그러나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단계에서 성급한 기대는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신이든 치료제든 사람에 대한 임상시험은 시판 이전에 제1상, 제2상, 제3상의 최소 3단계로서 상당히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데, 동물시험 등에서 큰 효험을 보였다는 후보 물질들이 이러한 임상시험 과정을 통과하지 못하고 탈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By 최성우

이미지1: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표면 단백질
이미지2: 에볼라바이러스의 치료제로 개발되었던 렘데시비르의 3차원 구조 ⓒ ChiralJon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840 프리먼 다이슨, 조지 가모프, 그리고 스티븐 호킹 최성우 05-23 2759 0
1839 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다는 구충제 이버멕틴이란? 댓글 5 최성우 04-30 2578 1
1838 코로나19의 집단면역은 가능할까? 최성우 04-19 2184 0
열람중 코로나19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은? 최성우 04-05 2423 0
1836 코로나19의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을까? 댓글 6 최성우 03-30 3734 0
1835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실험실 유출설은 근거가 있을까? 최성우 03-23 2205 0
1834 바이러스만큼이나 심각한 가짜 뉴스의 범람 댓글 2 최성우 03-14 2286 0
1833 코로나19의 중간 숙주는 무엇일까? 댓글 8 최성우 03-09 2901 0
1832 장영실은 과연 정치적 희생양이었을까? 최성우 03-03 2506 0
1831 중국 출신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3) - 투유유와 말라리아 치료제 최성우 02-21 2239 0
1830 중국 출신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2) - 물리학상, 화학상... 최성우 02-16 2290 0
1829 중국 출신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1) 댓글 2 최성우 02-12 2295 0
1828 섣부르거나 과장된 과학기술 보도 최성우 01-31 2198 0
1827 기초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의 관계는? (2) 최성우 01-17 1899 0
1826 기초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의 관계는? (1) 최성우 01-09 2228 0
1825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역사와 전망 최성우 12-13 3550 0
1824 급속히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한 일본의 근현대 과학기술 댓글 6 최성우 11-17 3281 2
1823 일본 근대과학의 선구자들 최성우 11-11 2908 0
1822 2019년도 노벨과학상을 종합해 보면... 댓글 3 최성우 11-09 2877 0
1821 기초연구의 도약을 기대하면서... 최성우 11-02 1992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