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왜 일본의 휴대전화들은 국제화되지 못 했나?”

글쓴이
아나로그의추억
등록일
2009-08-14 19:33
조회
6,292회
추천
0건
댓글
10건
이동통신에서 가장 앞선 일본. 그러나 일본 휴대폰을 다른 나라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다. 왜 그럴까? 뉴욕타임스 기사를 박순백 박사가 번역했습니다. 박 박사는 1세대 PC통신인입니다.

디지털 비즈니스를 이해하려면, '기술 못지 않게 문화를 동시에 이해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기사라고 생각합니다. 마음 편하게 읽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왜 일본의 휴대전화들은 국제화되지 못 했나?”

- 일본의 휴대전화 제작사들은 더 팽창하고 싶어하나, 그들의 똘똘한 전화기들은 다른 네트웍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히로코 다부치 기자
뉴욕타임스 지 인터넷 판, 기술면 / 2009년 7월 19일 자
번역: 박순백( @drspark / http://twitter.com/drspark )

http://drspark.dreamwiz.com/cgi-bin/zero/view.php?id=jia_warehouse&page=1&sn1=&divpage=1&category=12&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74

도쿄 - 첫 눈에 보면, 일제 휴대전화들은 인터넷과 이메일은 물론 신용 카드, 승차권, 심지어는 체지방 계산기 역할까지 하니 기계 좋아하는 사람들의 꿈이랄 수 있겠다.

그러나 시카고나 런던에서 파나소닉, 샤프, 혹은 NEC와 같은 일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을 보기란 하늘에 별따기다. 해외 시장에서의 여러 해에 걸친 적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전화기 회사들은 일본 땅을 벗어나면 거의 없다.

“일본은 어떤 기술 개혁에 있어서는 여러 해를 앞서 있죠. 하지만 그로부터 비즈니스 꺼리를 찾는 데는 실패했어요.”라고 도쿄에 기반을 둔 IT 자문회사인 유로테크놀로지 재팬의 사장 게르하드 화솔 씨는 말했다.

일본인들은 그들의 문제를 ‘좁은 틀 속에 갇힌 자가당착적 현상’인 “갈라파고스 증후군”으로 명했다.

- 다케시 나쓰노 씨는 일본인들이 달고 사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개발했다.[사진: 게티 이미지 / 준코 기무라]

“일본의 휴대전화들은 다윈이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맞닥뜨린, 본토의 동종 생물과 달리 환상적으로 진화하고, 전혀 다른 모습이 되어 버린 특정 지역에 한정된 종과 같다.“고 도쿄의 경응대학에서 강의하는 다케시 나쓰노 씨는 설명한다.

아이-모우드라 불리는 인기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개발한 나쓰노 씨는 올해 어찌하면 일제 휴대전화들이 국제화될 수 있는가에 관한 논의를 위해 사계의 전문가들을 소집했다.

나쓰노 씨는 “일본에 대해서 가장 놀라운 일은 평범한 사람들일지라도 엄청나게 발전한 휴대전화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거죠.”라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우리가 그런 이점을 발판으로 해서 앞으로 나아가야하지 않겠느냐고요.”

일본의 전화기 회사 중에서 의미있는 세계 시장 점유율을 보이는 단 하나의 회사는 소니 에릭슨으로서 런던에 있는 그 회사는 일본의 한 가전 회사와 스웨덴의 한 통신회사 간의 합작 벤처회사이다.

그리고 소니 에릭슨은 큰 손해를 입었다. 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2009년 1분기에 핀랜드의 노키아, 한국의 삼성전자와 LG, 그리고 일리노이의 모토롤라 뒤로 쳐진 겨우 6.3% 뿐이다.

그런데 일본의 세계적 영향력의 부재는 일제 휴대전화들이 거의 모든 단계에서의 산업혁명적인 성과인 1999년의 이메일 기능, 2000년의 카메라 폰, 2001년의 3세대 네트웍, 2002년의 완전한 음악 다운로드, 2004년의 전자 지불, 그리고 2005년의 디지털 TV를 가능케 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더더욱 놀라 자빠질 지경이다.

일본은 1억 명의 매우 앞선 3세대 스마트폰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숫자는 훨씬 더 큰 시장인 미국에서 사용하는 기기의 두 배에 달한다. 많은 일본인들은 인터넷 접속에 있어서 PC가 아닌 전화기에 의존한다.

실제로 일본의 휴대전화 제작사들은 자신들이 디지털 데이터 시대를 지배할 위치에 서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일본의 휴대전화 제작사들은 어찌 보면 지나치게 현명했다. 관련 산업은 점차로 안방산업화되었다.

1990년대에, 그들은 다른 나라에서는 모두 내던져버린 2세대 네트웍의 표준을 세웠다. 통신사들은 아이-모우드와 같은 담장을 쌓은 웹 서비스를 만들어 냈다. 그들 모바일 웹 세계는 일본 내에서 엄청난 이커머스와 컨텐츠 시장을 창출했지만, 동시에 일본이 세계 시장으로부터 점차적으로 고립되게 했다.

그 후 일본은 2001년에 3세대 표준을 잽싸게 받아들였다. 세계의 나머지 국가들은 머뭇거리고 있었기에, 대부분의 시장에서 일제 휴대전화들이 지나치게 앞선 제품이 되게 만들었다.

동시에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일본의 휴대전화 시장의 급성장은 일본 회사들이 해외 시장에 대한 유인 동기를 잃게 했다. 그러나 현재 그 시장은 경기 후퇴와 경기 노화 때문에 현저하게 줄어드는 중이다.

말하자면 휴대전화 제작사들은 2008년보다 19%나 줄어든 제품을 선적했을 뿐이고, 2009년에는 실적이 더 적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산업은 올해 3천만 대 이하에 지나지 않을 시장의 일부를 다투는 여덟 개의 휴대전화 제작사들로 분열되어 있을 것이다.

2006년에 돈 잃는 국제 휴대전화 시장에 대한 노력에서 손을 뗀 NEC 사를 포함한 여러 일본 회사들은 현재 해외 시장으로 뛰어들 것을 고려하고 있는 중이다. 파나소닉, 샤프, 도시바, 그리고 후지쓰 역시 비슷한 행보를 계획 중이란 소문이다.

“가트너 재팬 자문회사의 운영 부사장인 켄시 타자키 씨는 ”일본의 휴대전화 제작사들은 해외 시장을 바라보던가, 아니면 이 비즈니스에서 손을 떼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나쓰노 씨 그룹의 최근 회의에는 20명의 남성과 한 명의 여성이 도쿄 중심 고층 건물의 큰 회의 탁자 둘레에 몰려들어 시장 데이터를 검토하고, 통렬한 비판도 하고, 자주 머리를 끄덕여 댔다.

그 토론은 곧 휴대폰 그 자체로 전이되었다. 그들의 대폭 발전된 하드웨어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휴대전화들은 원시적이고, 투박한 인터페이스를 가졌다고 몇 참석자들이 말했다. 대부분의 휴대전화들은 애플 아이폰이나 다른 스마트폰들처럼 PC와 데이터를 쉽게 동기화할 수가 없었다.

각 휴대전화 모델은 각자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서 이의 개선에는 시간이 많이 들고, 경비도 비싸진다고 일본의 앞서 가는 통신사 중 하나인 소프트뱅크 모바일의 상임 부사장 테쑤조 마쓰모토 씨가 말했다. “일본의 전화기들은 초장부터 수작업으로 만든 거나 마찬가지여서” “그게 이제 한계에 도달한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외국에서는 인기가 없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조가비형 휴대전화 디자인과 같은 일본 시장의 기형적인 면이 있다. 태양전지 배터리나 방수 기능 같은 근자의 하드웨어 개선들은 혁신적이 아니고, 점증적일 뿐이었다.

하드웨어에 대한 강조는 최신의 휴대폰들마저도 너무 커서 다루기 거북하게 만들어 버렸다. 어떤 분석가들은 휴대전화 통신사들은 전화기의 주변 하드웨어 기능을 너무 많이 요구함으로써 혁신의 숨통을 조였다고 말하고 있다.

한 예로 소프트뱅크를 위한 샤프 912Sh는 90도 각으로 회전하는 LCD 화면, GPS 추적, 바코드 읽기, 디지털 TV, 신용카드 기능, 영상회의, 그리고 카메라를 장착하고 나타났으며, 얼굴인식 기능을 소개했다.

동시에 일본인 개발자들은 애플 아이폰이나 앱 스토어의 쫓아갈 엄두조차 못 낼만큼의 세계적인 인기를 시기하는데, 그것은 미국과 유럽의 휴대전화 산업이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 스펙에 대한 그 강박관념으로부터 멀어지게 해버렸다. “나쓰노 씨는 자신의 아이폰 3G를 작동시키면서 ”이게 내가 만들고자 했던 그런 전화입니다.“라고 말했다.

일본의 앞선 하드웨어와 그 원시적인 소프트웨어 사이의 갈등은 일본인들이 아이폰이 최첨단 제품인지, 혹은 고리타분한 제품인지에 대한 혼동이 일게 하는데 기여했다. 한 분석가는 일본인들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전화기에 익숙하지 않다고 말했다.

갈라파고스 증후군을 적시하기 위해 개최된 나쓰노 씨의 토론은 일련의 권고안을 제시했다. 일본의 휴대전화 제작자들은 보다 소프트웨어에 집중해야만 하며, 해외의 인재를 고용해야하고, 일본의 휴대전화 통신사들은 그들의 시야를 해외로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의 휴대전화 산업이 해외 시장을 넘보기에 너무 늦은 것은 아니죠.”라고 바클레이 캐피털 재팬의 통신 분석가인 테쓰로 쓰사카 씨는 말했다. “게다가, 갈라파고스 외적인 대부분의 휴대전화들이 아주 기본적인데 지나지 않잖아요?”

  • BizEng ()

      소비자들의 Preference가 워낙 달라서....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다른 나라 소비자들과 달리, 일본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service를 담아내려다 보니 어쩔수없이 일본에 적합한 방식으로 독특하게 '진화' 해 나간거죠.

    '뽀대' 나는 단말기, SMS 음악, 자판기 방식의 여러 컨텐츠 들을 원하는 일본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통신망 자체가 다른 나라와 달라져 버린 것을 어쩌겠습니까? 그렇다고, 다 접고 다른 나라 쓰는 것 처럼 일본 소비자들보고 '니들이 바꿔' 라고 할 수는 없겠죠.

  • 예진아씨 ()

      BizEng // 애플의 무서운 점은 지금의 아이폰으로 그런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다는 거죠. 하드위어나 통신망을 새로 구축하지 않고도요.  나쓰노 씨가 아이폰 3G를 들고 이런 핸드폰이 내가 만들고 싶은 거였다는 말도 아마 그런 뜻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 BizEng ()

      개발자 입장에서야 그런 개방형 flat form을 바탕으로 개발자가 아니라 user 들이 다양한 application들을 스스로 만들어 끊임없는 혁식을 해낼 수 있는 iphone 시스템이 부럽기만 하죠. 그리고, end user들이 원하는 걸 직접만들어 공유하겠다는데...어느 개발자가 일일히 그런 것들을 따라갈 수야 없죠. 폐쇠적 일본 통신망에서야 꿈꾸기 어려운 것이겠습니다만, 그렇다고 일본 통신사업자들과 user 들이 차이가 있다는 것이야 어쩔 수 없는것이란 말씀이었답니다.

    한국 통신시장도 일본과 어찌보면 비슷하고, 많이 따라들 하는데....걱정이 많습니다.

  • 아나로그의추억 ()

      1. 일본은 이동통신 분야에서 우리나라보다 한발 앞서 나가는 나라입니다. 일본 휴대폰 업체들이 해외 시장에서 죽을 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2. 단말기 업체의 최고 목표는 사용자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내놓는 것입니다. 앞에 소개한 글을 읽으면, 이 목표가 잘못됐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일본은 잊으라'는 충고라고 저는 해석합니다.

    3. 우리도 이 글에서 배울 것이 많습니다. 그것은 바로 온라인게임 네이버 아이리버가 해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이러한 딜레마를 설쾌하게 설명하는 분이 있습니다. 크리스텐슨 교수입니다. 살아남으려면 '지금 충성스러운 고객도 배반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그는 경고합니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 빨간거미 ()

      온라인 게임은 해외진출에 상당히 성공했는데요.
    설마 WOW수준이 아니면 성공한게 아니라는 의미는 아니겠죠 ?

  • 베짱이 ()

      //아나로그의 추억님 소비자 기호에서 한발 앞서나간다는 것과 해외시장에서 죽쑤는 것이 연결고리가 뭐가 있나요? 반발 앞서가야 수출에서는 좋을 거 같은데요. 대마피다 헤로인 바로 하면 죽을 거 같은데요. 조금씩 조금씩 중독성을 강하게 만들어가야 장기적으로 수출도 유리합니다. 한번에 강한 마약주면 죽어버려요.

  • 아나로그의추억 ()

      빨간거미 님.

    온라인 게임이 문화의 장벽을 넘지 못하는 것을 저는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패키지 게임이 안 되니까 어쩔 수 없이 택한 것이 온라인 게임입니다.

    이를 성공시킨 것은 높이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온라인 게임이 문화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정도만 온라인 게임이 성행하죠.

    또 만약 온라인 게임이 게임의 주류가 됐을 때 그 시장은 우리의 것이 될 수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클레야 ()

      저도 얼마전에 일본 댕겨 오면서 요도바시매장에 들렀더니, E마트보다큰 전자제품매장이 압도하더군요. 다양한 휴대폰도 있었구요. 옆에 아이폰3GS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일본핸드폰의 특징이 투박하게 크구요. 우리나라에서 거의 못보던 디자인들이였습니다. 이글에 갈리파고스 증후군이라는 말이 어울릴정도구요. 그들만의 리그 같습니다. SW보다 HW강조하는 것은 우리나라도 상당하지만 일본은 더 한 것 같습니다.
    사실 SW 는 서양이 좋은 것 같아요. 혁신적인 게임(GTA)이나 3D게임엔진도 서양것을 빌려도 쓰죠. 3D 애니메이션도 그렇구 아이폰까지 가면 말할 것도 없겠죠. 우리나라는 SW 는 공짜라는 인식이 너무 강한 것 같아요.

  • bozart ()

      좋은 글이구요, 공감합니다. 언제가 이 글과 관련된 생각을 정리할 생각합니다.

    그나저나 얼마전 한국 신문에 "한국이 갈라파고스"란 기사가 올랐었는데, 그게 우연인가...?

  • 아나로그의추억 ()

      클레야님.

    일본 이야기 재미있습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본 핸드폰이 투박하게 생겼나요?

    bozart 님.

    일본은 문화강국입니다. 제조업도 세계 최고입니다. 우리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변화에 적응하는 데는 느립니다. 이 부분만은 우리가 일본보다 훨씬 더 잘 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는 bozart 님 글을 무척 좋아합니다. 무엇보다도 기술과 비즈니스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it가 나아갈 방향까지 제시하는 글을 써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목록


펀글토론방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7639 민태기박사 글, 태극기 휘날리며 묵공 12-30 862 0
7638 비겁하고 책임감 없는 미국의 어른들 (경찰 포함) 시간 05-10 1234 0
7637 이영훈의 왜곡을 영어책 한방으로 보낸 이민진 댓글 1 시간 04-26 1252 0
7636 방역을 못했다고 왜곡하는 ... 댓글 1 리영희 02-22 1253 0
7635 피를 토한다는 류근일 글을 보고 시간 01-31 1235 0
7634 찰지고 통쾌한 욕설 - 줄리아 가너 (배우) 시간 01-26 1436 0
7633 내기를 한번 해보면 어떨까? 시간 01-24 1143 0
7632 삼프로 티비 - 안철수 편 (이공계 출신) 리영희 01-05 1355 0
7631 부동산 허영심만 부추기는 말도 안되는 기사 리영희 12-03 1298 0
7630 Olympic 메달의 의미 - 하형주 리영희 11-23 1282 0
7629 donga- 패배자 입장에 있는 시각의 기사 시간 11-11 1325 0
7628 쭝앙- 왜곡된 오이시디 2000-2060 경제 보고서 댓글 1 시간 11-09 1433 0
7627 남의 딸 성적표 리영희 09-01 1650 0
7626 Atlanta spa 총기 사건: 명복 빕니다 리영희 03-21 1755 0
7625 가디언십 익스플로이테이션 리영희 06-26 2522 0
7624 2015년에 본 2020 년? 리영희 06-11 2078 0
7623 수 초내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하면 좋겠으나 묵공 05-20 2118 0
7622 n번방 방지법 어떻게 생각하세요? 나루토 05-12 2134 0
7621 삼성바이오 관련 보스톤 "바이오젠", 슈퍼전파자로 시간 04-14 2123 0
7620 코로나 검체 취합 검사법이 널리 쓰이게 될까? 댓글 2 묵공 04-10 2541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