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로 에볼라 억제

글쓴이
실피드
등록일
2003-12-16 13:36
조회
5,699회
추천
0건
댓글
0건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피를 빠는 기생충에서 추출된 항응고 단백질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실험이 막 시작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에볼라에 대한 어떤 치료 방법도 없다.

연구진들은 피가 굳는 것을 막는 단백질을 에볼라에 감염된 9마리의 원숭이에게 주사했다. 그 중 3마리가 생존했는데, 보통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원숭이는 100%의 치사율을 보인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1976년 처음 발견된 이후, 아프리카에서만 1000명이 감염으로 사망했다. 콩고 지방에서는 지난 두 달동안 29명이 에볼라로 사망했다. 감염자들은 구토, 설사, 간과 이자 손상, 내출혈, 외출혈 등 이후에 발열 증세를 보였다.

"여지껏 에볼라에 대한 어떤 대책도 없던 상황에서 이건 정말 좋은 소식입니다" 미 육군 의학연구소에서 전염병을 연구하고 있는 토마스 가이스버트(Thomas Geisbert) 박사의 말이다. 가이스버트 팀은 예전에 응고에 관련된 기관의 문제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 사망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임을 밝혔었다.

그 항응고제는 rNAPc2 라고 불리는 것인데, 숙주의 피를 빨아먹는 십이지장충 종류로부터 얻어낸다. 시애틀에 있는 Dendreon사에서 만들고 있는 rNAPc2는 현재 협심증 치료에 임상시험 중이다.

몇몇 바이러스 학자들은 그 약이 충분히 효능이 있는지 의심하고 있다. 다른 이들은 지금까지의 치료방법 중 가장 좋은 후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제보건기구(WHO)의 연구자들도 rNAPc2를 콩고의 대규모 감염에 사용할 수 있는지 문의했다.

가이스버트 박사는 rNAPc2가 응고를 늦추어 체내의 저항력으로 에볼라 감염을 막을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rNAPc2는 이 동물들 중 몇몇은 고비를 넘길 정도로 사망시기를 늦춰주었습니다" 그는 다른 약품들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성공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출처 : Nature online>
http://www.nature.com/nsu/031208/031208-17.html

목록


과학기술칼럼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482 물수제비의 비법, 밝혀지다 댓글 1 실피드 01-06 8071 0
1481 토성, 30년만에 지구 최접근 실피드 01-02 4671 0
1480 죽은 혜성, 새해 첫 유성우로 쏟아진다 실피드 01-02 4649 0
1479 액체 제어하는 나노카펫 개발 아즈 12-31 5335 0
1478 광회로(photonic chip) 가능케 하는 초미세 광섬유 개발 댓글 2 아즈 12-28 6063 1
1477 [해외] 교토대 지적재산권 지침 확정 최희규 12-26 4476 0
1476 아기 울음소리에 주파수가 맞춰진 부모들의 뇌 hiafrica 12-23 7277 0
1475 진짜 같은 인공 폴리머 달팽이 hiafrica 12-17 4947 2
열람중 항응고제로 에볼라 억제 실피드 12-16 5700 0
1473 휴먼 게놈 프로젝트의 끝 - II. 비전과 도전 Simon 12-13 9515 0
1472 스웨덴 여학생이 푼 '세기의 수학문제', 해답의 신빙성 논란 댓글 1 아즈 12-12 6755 0
1471 빛을 저장한다 댓글 2 아즈 12-12 6199 0
1470 [사이언스] 가장 오래된 화석 - 아시아 기원설 최희규 12-12 5223 0
1469 [속보] 침팬지의 유전체 초본 완성 Simon 12-11 4678 29
1468 [해외] 화성의 기후변동 최희규 12-09 5299 62
1467 [네이쳐] ‘朝永理論’ 확인 - 53년만에 최희규 12-08 4557 60
1466 [네이쳐] 수국을 보호한다. 최희규 12-08 4946 56
1465 입자물리학 선구자 파웰 탄생 100주년 아즈 12-06 6293 62
1464 [사이언스] 가장오래된 숫놈 (2신) 댓글 1 최희규 12-05 5043 58
1463 사라지는 잉크 개발 댓글 3 아즈 12-05 6504 68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