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N에서 퍼옴...

글쓴이
2bgooroo  ()
등록일
2002-04-02 01:06
조회
2,080회
추천
0건
댓글
6건
"이공계 기피 현상의 핵심" 기사 잘 봤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평소 한겨레 신문과 하니리포터의 열렬한 팬입니다.
제 소개를 간단히 드리지요.
저는 서울대 물리학과에 1990년에 입학해서 석사 및 박사를 끝내고
지금 연세대 물리 및 응용물리 사업단에서 BK21 포닥(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중인 물리학자(? 내가 학자라니...웃긴다...죄송...)입니다. 박사 학위를 작년 2월에 받았으니까, 포닥생활을 한 1년쯤 한 셈입니다.

세간에 이공계 기피 현상이 화제가 되면서 갖가지 분석, 진단, 처방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어서 한편으로 기쁘기 그지 없습니다.
그만큼 사회가 이런 쪽으로도 신경을 쓸만큼의 여유가 생겼다는 사실의 반증이니까요.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저런 분석과 진단들이 정말 사태의 본질을 제대로 꿰뚫고 있지 못하다는 생각도 가끔 들었습니다.

제가 무슨 뾰족한 묘안을 가지고 있겠습니까만 이 바닥에 있는 다양한 사람의 의견을 기자님이 섭렵하시는 것도 두루두루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몇 자 적어 보내게 되었습니다.

우선 제 전공을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입자물리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입자물리학 한다는 건 참 쉽지 않죠.
저는 그 중에서 이론 전공입니다.
입자 이론에도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저는 그 중 현상론에 속합니다.
현상론이라 함은, 입자 가속기에서 쏟아져 나오는 무수한 데이터들을 '무슨 수를 써서든지' 설명해 내는 것을 주업으로 한다는 뜻입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에는 입자 가속기가 없습니다(포항에 있는 방사광 가속기는 고체실험을 위한 것이지 입자물리학을 위한 건 아닙니다.).
그래서, 실험하시는 분들은 일본, 미국, 유럽으로 공동연구하러 많이 가십니다.
저희같은 입자이론 전공자들은 인터넷의 도움으로 세계 각처의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실험의 결과들을 실시간으로 알 수는 있습니다.
저희들은 주로 컴퓨터 앞에 앉아 논문들 읽고 연구하고 계산하고 쓰고 인터넷에 논문 올리고...등등의 일을 하죠.

이제 제 생각을 하나하나 밝혀 보겠습니다.

첫째, 학문과 경제는 분리되어야 합니다.

이 말이, 학문과 경제가 아무런 상호작용없이 각자 따로따로 놀아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는 건 아마 잘 아실 것입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학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 그 자체 내의 내적 논리, 다른 그 어떤 분야의 논리가 아닌 학문 그 자체의 발전 매커니즘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경제 발전을 위해서 우리나라 '이공계'가 혁혁한 공을 세운 건 사실이고 또한 내세우고 싶은 치적이긴 하지만, 오히려 이런 주장들이 나중에 우리의 발목을 잡을 수가 있습니다.
왜 학문의 존재 이유를 국가의 경제발전에서만 찾아야 하는 겁니까?
한 나라의 학문의 발전과 융성은 다른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고 다른 그 무엇과도 비교되거나 대체될 수 없는 고귀한 가치입니다.
인류가 지금까지 쌓아왔던 지적 발전의 맥을 도도히 이어가는 것이며 그로 말미암아 전 인류의 보편적 이익을 위해 봉사하게 되는 숭고한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런 가치들이 한낱 돈 몇푼의 논리에 빗대어 얘기되어서야 학문이 경제의 노예밖에 더 되겠습니까.

혹자는 학계에도 구조조정, 경쟁력, 연봉제 등을 도입해서 활력을 불어넣고 철밥통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일리있는 주장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정말 학문의 발전 메커니즘에 대해 제대로 고민해 봤는지 되묻고 싶습니다.
그저 기업들이 구조조정하고 다운사이징하고 명퇴바람이 유행이 되다시피하니까 대학이나 연구소에서도 이 '경제살리기' 대열에 동참해야 한다는 안일한 생각의 발로가 아닌가 하고 의심이 많이 듭니다.

단적인 예만 하나 들죠.
유명한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한 와일즈는 프린스턴 대학에 말 그대로 '쳐박혀' 있으면서 7년간 변변한 논문 하나 써내지 못했습니다.
일화를 듣자하니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예전에 써 놓은 몇몇 논문들을 잊을만하면 하나씩 발표했다는 그런 얘기도 있더군요.
그런데도 대학에서는 그렇게 별로 연구성과없는 와일즈에게 아무런 간섭과 방해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상하지 않습니까? 효율성, 경쟁력, 구조조정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미국 본토의 명문대에서 이런 비경제적이고 몰지각한 현상이 일어나다니요?

첨언하자면, 교수들이나 학자들 능력을 매길 때 도대체 누가 누구를 평가한다는 겁니까?
이 짧은 글에서 많은 것, 학계의 치부를 전부 얘기해 드리지는 못하겠지만, 그게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논문편수나 인용횟수 그런 게 한 학자의 능력을 모두 대변하는 게 결코 아닙니다. 특히나 우리나라 같은 상황에서는 말이죠.

요컨대, 경제논리로 학문의 발전을 논하지 말라는 겁니다.
'이공계'라는 말로 뭉뚱그려지면서, '과학기술자'들은 대부분 기업이나 국가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혹은 경제발전의 원천기술을 만들어내고 그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쯤으로 인식되는 것 또한 경제논리가 빚어낸 비극입니다.
그런 '이공계' '과학기술자' 속에서 저같은 입자물리학자는 찾아볼 수가 없더군요. 솔직히, 기자님의 기사를 읽으면서 딴 사람 얘기하는 것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경제논리가 학문발전을 왜곡하는 또하나의 예를 들자면 이른바 '학문에 대한 투자'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투자라니요? 저는 학문에 감히 '투자'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아드레날린 분비가 급격히 늘어남을 느낍니다.
그 투자라는 명목으로 정부 관리들이 얼마나 학자들을 괴롭히는지 아십니까? 돈이나 좀 많이 주고 그러면 이해해 줄 법도 합니다.
몇 푼 주지도 않으면서 그쪽에서 요구하는 연구 성과물이나 보고서 보면 참으로 가관입니다.
저같은 기초과학 하는 사람이 도대체 경제발전에 무슨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서에 일일이 그런 항목까지 채워야 합니까.

학문에 '투자'하겠다고 생각하는 정책입안자들 머릿속에는 마치 증권시장가서 주식 사는 것과 같은 생각이 맴돌 것입니다.
지금 여기 10억 쏟아부으면 5년쯤 후엔 적어도 15억은 돌아오겠지.
정부 관리들이나 여타의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한 학문의 발전은 요원합니다.
이 분들에게는 학문이란 실패의 연속, 잘못된 모델링의 반복, 끝없는 시행착오, 의미없어 보이는 단순 작업의 반복,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결과에 대한 도전, ... 이라는 말이 전혀 이해되지 않을 겁니다.

제발 학문에 '투자'하지 마십시오.
투자하겠다면, 그 투자받은 학자들은 원금을 불려주기 위해 실패를 무릅쓴 과감한 연구를 못합니다.
그냥 학문에 돈을 '갖다 버리십시오'.
학문에 돈을 쓰는 것은 이를테면 대한민국이 유엔 분담금 지불하는 것이나, 아프간 전쟁에 전쟁 수행비용 내는 것이나, 주한미군 유지바 내는 것과 같은 필요불급의 '비용'으로 생각을 바꿔야 합니다.
뭘 기대하지 마십시오.
그저 대한민국이 이만큼의 지위에 올랐으니, 인류의 학문 발전에 이정도는 기여해야겠다는 생각만큼만 학문에 돈을 '버리십시오'.
그래야 학자들이 마음놓고 연구할 수 있습니다.

아무 대학 아무 교수나 붙들고 물어보십시오.
우리나라 교육부나 과기부에서 제발 아무 일도 안하면 저절로 우리나라 학문이 발전할 거라고 이구동성으로 얘기할 겁니다.

물론, 학자들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평가는 해야 할 것이고 자금의 차등지원 또한 현실적인 문제일 것입니다.
학계에서도 연구비를 사적으로 빼돌린다든지 하는 일들이 전혀 없지 않을 테니까, 사실 학계 내부에서 개선할 점도 분명히 많습니다.

그럼에도 제가 정부나 사회에 요구하는 것은 제발 다른 논리나 메커니즘이 아닌 지극히 학문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인재가 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은 가시적인 SOC를 건설하는 것과 동일한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계에서도 많은 역할을 수행해야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정부 당국에서 그에 걸맞는 시야와 안목을 가져야 합니다.
서울대에서는 천재들을 데려다가 바보로 만든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우리 사회에 얼마나 인재양성 시스템이 낙후되어 있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습니다.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시스템은 박사급 인력의 일자리를 대폭 늘리는 것입니다. 하니리포터에서 기자님은 이공계 기피 해결책으로

"경제적 처우, 사회적 지위, 긍지, 보람"

등을 제시하셨는데, 사실 돈 몇 푼 쥐어주는 것보다는 안정적이고 풍부한 일자리만큼 우리들이 바라는 건 없습니다.
일자리가 많다는 것은 단지 돈 벌 곳이 많다는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연구를 할 여건이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자들에겐 돈 몇 푼 더 받는 것보다 훨씬 큰 힘이 됩니다.

지금 이공계 대학원생들에게 연구활동의 가장 큰 장애요소가 뭐냐고 물으면 아마 불확실한 미래가 으뜸으로 꼽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 간다고 해 놓고선 그 많은 석박사들을 사회가 감당할 기제를 하나도 갖춰 놓지 않으면 도대체 어쩌란 말입니까. 학위만 남발하고 고학력 실업자 양산하겠다는 거 아닙니까.

우리나라에는 정말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연구소가 별로 없습니다.
저 같은 입자물리학 하는 사람이 갈 수 있는 연구소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고등과학원 정도일까요.
이왕 말이 나온 김에 고등과학원(KIAS)에 대해 잠시 말해보죠.

제가 아는 한, 고등과학원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인, 거의 유일무이한 기초과학 이론 (물리, 화학, 수학) 연구소입니다.

이곳의 1년 예산이 채 100억원도 안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고등과학원은 개원한지 10년도 채 안 되어 세계적인 수준의 논문들을 말 그대로 '쏟아내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나라에서 도입하려는 차세대 전투기 한대 가격도 고등과학원 1년 예산보다 훨씬 비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기초학문에 '투자'하는 것이 얼마나 '경제적인'지 짐작하실 겁니다.

그런 연구소 많이 지어야 합니다.
무슨 기업체 부설 연구소나, 정부 산하 기관 연구소 이런 것들은 간판만 연구소이지 결국은 기업들 돈벌이나 정부 사업을 위한 프로젝트만 수행할 뿐 학문발전과는 애초에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학문만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그런 연구소가 많이 필요합니다.
거기서 오갈데 없는 우수 인력을 적극적으로 끌어 안아야 합니다.

또한, 대학에서도 교수 인력을 대폭 늘려야 합니다.
서울대 물리학과의 경우 교수진이 채 40명이 안 됩니다.
물리학 제대로 해 볼려면 적어도 100여 명의 교수진을 갖춘 대학이 국내에 하나쯤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비슷한 분야의 공동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그 밑에서 수많은 인재들이 길러질 수 있고 교수들의 학과행정 부담도 줄어들게 됩니다.
규모가 받쳐줘야 뭔가 해 볼 수 있다는 얘기죠.

사실, 시스템을 제대로 만드는 것은 연구소 몇개 짓는 것이나 대학 교수 정원을 늘리는 것 이상을 의미합니다만, 우선은 이런 기본적인 모양새가 갖춰져야 미래를 얘기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이공계 기피 현상을 막기 위해서 다른 여러 방책들도 많겠지만, 제 생각엔 가장 기본적으로 위의 두 가지가 가장 우선적으로 가장 비중있게 해결되야 한다고 봅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저는 이공계 기피 현상이 가리고 있는 또다른 현실, 인문학을 포함한 우리 나라 기초학문의 붕괴를 훨씬 더 심각한 문제로 여기고 있습니다.
사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문제가 되었던 것도 응용분야로 분류될 수 있는, 그래서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대에 촛점이 맞춰졌기 때문이죠.
여전히 경제논리로 학문을 보는 관점을 극복하지 못한 셈인데, 공대의 위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이 예전부터 지적되어 온 인문학의 위기이고 기초과학의 위기 입니다.

솔직히, 그나마 이공계는 상황이 좀 나은 편입니다.
서울대에 가면 규장각이라고 있습니다.
거기 가면 우리나라 고문서들 엄청나게 쌓여있죠.
그런데, 예산이 부족해서 그 귀한 자료들이 지하에서 그냥 방치되어 썩어가고 있습니다.
훼손이 심각해진다고 들었습니다.
자료 보존에 관한 예산이 1년에 몇 억만 되어도 자료 부식을 막을 수 있다는데, 그것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죠.
그런 상황이다보니 프랑스에서 외규장각 돌려줘봤자 제대로 보존이나 하겠냐고 비아냥거리는 겁니다.
더더욱 가관인 것은, 규장각에 도대체 어떤 고문서들이 있는지 제대로 파악조차 안되고 있다는 겁니다.
박사급 인력을 풀어서 연구시키면 황금같은 논문들이 쏟아질 판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인문학 하는 사람들한테는 고가의 최첨단 장비도 필요없습니다.

그저 월급이나 제때 주고 괜찮은 컴퓨터 갖다 주면 그걸로 기초학문 지원은 끝입니다.
그게 몇 푼이나 들겠습니까...
인문계 박사 아무도 안 할려고 합니다.
그래도 자연계는 병역특례라도 있지요, 그나마 BK21(나같은 경우 의료보험도 안 되긴 하지만 월급 꼬박꼬박 주는게 어딥니까...)이라는 거창한(?) 프로젝트도 있는데, 인문계는 그런 거 하나도 없습니다.
학문의 기초인 인문학이 이지경이니 국가의 장래가 암담할 수밖에요.

저는 기초 과학이 잘되기 위해서조차 인문학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문학이 잘 되야 사람들이 '상식적인 생각'을 하는 풍토가 만들어지고 '다양성'이 인정됩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자유로운 생각들이 만개하게 되고 정말 학문할만한 사회적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지요.

맺기 전에 미국에서 있었던 한 일화를 소개합니다.
미국 시카고 근교에는 테바트론이라는 세계 최대의 입자 가속기가 있습니다. 그 기계를 처음 만들 때, 의회 국방위원회에서(그때나 지금이나 펜타곤이 여전히 돈줄을 쥐고 있나 봅니다) 청문회를 했습니다.
그 청문회에 나온 물리학자가 윌슨이라는 사람인데, 입자 물리학에서 아주 큰 업적을 남긴 매우 유명한 과학자입니다.
국방위원들이 물었습니다.

"그 가속기가 국토 방위와 무슨 상관이 있지요?"

그러자, 윌슨이 대답했습니다.

"이 가속기가 조국을 지키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우리 미군이 이 가속기를 목숨걸고 지키게 될 것입니다."

윌슨은 테바트론으로 말미암아 미국이 목숨걸고 지킬만한 가치가 있는 나라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입니다.
초대형 가속기를 운영하는 데에는 최첨단의 과학기술이 모조리 동원됩니다.
그런 것들을 굳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이득을 가져다 주는지 계산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유럽 입자 가속기의 과학자들이 인터넷을 처음 고안해 낸 것 또한 경제적으로 얼마만한 가치가 있는지 계산할 수도 있겠죠.
그러나, 그런 거대 가속기의 존재, 그리고 거기서 이루어 낸 과학적 발견들은 도저히 돈으로 환산될 수 없습니다.
학문의 존재 의의는 따로 있습니다.

돈 몇푼 더 벌어주는 가속기 때문에 미군이 목숨을 걸지는 않을 테니까요.

두서없이 쓰다보니 길어졌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기초학문에 많은 관심 가져 주시길 부탁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기사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신촌에서
  • 김덕양 () IP :

      좋은 글입니다. 근데 LSN이 어디죠? 좀 가르쳐주셨으면. =) 아아- 결국 정부는 응용학문에서 손떼고 기초학문쪽으로 움직여야될른지도 모르겠군요. 음.

  • 2bgooroo () IP :

      컥...죄송...ㅡ,.ㅡ;;;linux.sarang.net이라고...거기서도 퍼온글이고 원문출처는 한겨례인것 같습니다

  • 1 () IP :

      여긴 과학자만 오는데가 아닙니다..이곳에는 공학 전공하신 엔지니어 분들이 더 많습니다..이 점 참고로 해주시면 좋겠네요

  • 소요유 () IP :

      좋은 글입니다. 글 올리신 분 분야는 그런 분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1'님이 지적한 부분도 맞는 이야기구요.  즉 우리의 스펙트럼이 다양합니다. 이를 인정해야 합니다. 지금은 과학자와 엔지니어 전체적인 입장에서 이 문제를 바라다 봐야 합니다. 우리는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이  동전의 앞면과 뒷면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어느 하나만 추구한다고 발전이 계속되지 않습니다. 기초과학은 응용의 산실이고 반대로 응용과학은 기초과학의 또 다른 기반입니다.  기초과학을 하는 사람으로서 현대의 기초과학은 응용과학적 기반없이 이루어 질 수 없다는 사실을 잘 느낄 수 있습니다. 

  • Rustech () IP :

      Nice writing!!! I agree with him. In my opinion, Maybe we need science, not technology. In other word, scientific mind. We must reflect on ourself, and ask "How many korean special books in library????" We don't have our scientific mind, only we use american scientific mind. I think it's a surbordination.

  • 허무인생 () IP :

      뜬구름 잡는 소리로 들리네...내 나이 27살..공대 졸업반이건만...의대 학사 편입하고 싶다...



손님게시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공지 손님 게시판 운영 정상화에 대한 안내 댓글 14 scieng 07-15 39377 52
10265 "경적 왜 울려" 거친 욕설 퍼부은 남성 모욕죄로 기소-- dfgh 07-29 3975 0
10264 '또래 살해' 20대 여성…"실제 해보고 싶었다" 자백 ---- dfgh 07-29 565 0
10263 국가기관은 음주운전/묻지마 폭행/살해/살인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dfgh 07-29 534 0
10262 애 안키우는 배불뚝이와 창녀 댓글 2 리영희 07-07 2263 0
10261 답변글 게시판 접근 제한 sysop 07-08 1203 0
10260 빡대가리 윤 나토 참석 댓글 27 리영희 06-10 2202 0
10259 답변글 엄중 경고 sysop 06-15 1421 0
10258 운영진께. 게시글 삭제 혹은 게시글 내 개인정보 삭제 요청 댓글 2 아하하하 03-07 1515 0
10257 탈퇴시켜 주세요. freude 03-28 4843 0
10256 탈퇴 부탁드립니다. 현실과가상의중간 02-18 2368 1
10255 관리자님, 회원 탈퇴 기능 제공 바랍니다. freude 01-08 2216 0
10254 탈퇴좀시켜주세요.. howl 11-11 2498 0
10253 검색한후 최근글순으로 정렬가능한가요? 우파루 01-23 3424 0
10252 공대지망 이과 재수생 학과지원 조언부탁드립니다 저출화 08-26 2622 0
10251 주위깊게 한번만 살펴봐주세요 특히 물리학전공하신븐들. 가끔그립다 07-25 2732 0
10250 군 전역 후 1년의 휴학기간 댓글 1 구국공 11-01 4635 0
10249 두 개로 쪼개진 것에 감사 - 꼭 통일이 될 필요가 있을까? 시간 11-19 10663 0
10248 포인트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댓글 20 푸르매 04-09 15523 0
10247 이런 현상을 뭐라 하는지요? 댓글 1 ? 03-23 16038 0


랜덤글로 점프
과학기술인이 한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2002 - 2015 scieng.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